[원가관리회계] 원가추정과 학습곡선모형

원가추정
원가추정에서는 #원가함수 라는 개념이 나온다.
원가행태가 관련범위 내에서 선형이라고 가정하고 조업도(독립변수)와 총원가(종속변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식이다. 즉, 고나련범위 내에서 단위당 변동원가, 총 고정원가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문제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일정하다고 가정한다)
원가계산모형: 고저점법
원가추정은 다양한 방법으로 원가함수를 가정해볼 수있다.
그 중에 우리는 #고저점법 을 가장 많이 접근한다.
① 최고 조업도와 최저 조업도를 이용하여, 원가함수 추정
② 단위당 변동원가(b) = 총원가 차이/조업도 차이 (증가량을 비교했을 때, 기울기 추정) = 변동원가의 차이
③ 총고정원가(a) = 원가함수 모형이용해서 총원가에서 (단위당 변동원가 * 조업도) 차감해주는 방식으로 구할 수 있음
④ 특징은 a를 어떤 원가로 가정하느냐에 따라 b의 원가가 달라질 수 있다.
총원가를 이용했다면, a는 총고정원가, b는 단위당변동원가
총제조원가 이용시 a는 총고정제조원가, b는단위당변동제조원가
총제조간접원가를 이용시 a는 총고정제조간접원가, b는 단위당 변동제조간접원가이다.
학습곡선
우리가 특정 작업을 반복수행 했을 경우, 능률 향상이 자연스러운 결과로 따라오면서 학습효과가 발생한다. 학습효과가 발생하면, 단위당 노무시간(원가)가 감소하게 되고, 단위당 변동원가의 감소를 초래한다.
그런데, 기존의 전통적 원가함수와 다르게 비선형관계가 나타난다.
이러한 비선형관계를 설명하는 원가함수를 학습곡선모형으로 추정한다.
1) 종류
두 가지다.
- 누적평균시간 학습모형
- 증분단위시간 학습모형
이 둘 중 출제 빈도는 #누적평균시간학습모형 이 훨씬 많이 나온다고 한다.
학습곡선 파트에서 설명하는 #직접노무시간 의 정의가 중요한데,
제품 1단위를 추가로 생산할 경우 발생하는 직접노무시간이다.
즉, 학습효과가 발생하는 원가다.
|
(2L)ⁿxy = 총 누적시간
|
|
누적생산량(x)
|
단위당 누적평균시간(y)
|
총누적시간(xy)
|
|
1단위
|
1,000시간 x 학습률
|
|
|
2단위 x 2¹
|
(1,000시간 * 학습률) x 학습률
|
|
|
N-1단위 * 2ⁿ
|
|
|
여기서 단위당 누적시간 y 부분은 시간이 될 수도 있고 운가가 될 수도 있음
원가로 가정했을 때 더 빨리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다.
*학습효과가 발생하는 원가로 묶는다.
ex. 예프로회사는 신제품을 개발하여 첫 25단위를 생산하였는데 이와 관련된 원가는 다음과 같이 발생하였다. 예프로회사는 직접노무시간이 90% 누적평균시간 학습곡선을 따른다고 가정하고 있다. 추가로 75단위를 생산하는 경우 제조원가는 얼마나 더 발생하겠는가? 단, 고정제조간접원가는 추가로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나는 2번이나 학습효과가 발생하는 원가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이냐를 놓쳤다.
학습효과가 발생할만 한 원가는 말 그대로 이해로 접근하면 쉽다.
고정원가나 직접재료원가는 학습이 되어 변동되는 원가가 아니다.
그럼 좁혀진다.
최종적으로 위에 적어놓은 총누적변동가공원가를 구하는,, 방식
이것도 a를 어떤 걸로 가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도 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