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생의 일기/원가회계 뽀개기

[원가관리회계] 전부원가, 변동원가, 초변동원가계산

예프로 2024. 4. 25. 00:26

전부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초변동원가계산

원가관리에서 가장 중요하다고도 할 수 있는 파트.

#전부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

#초변동원가계산

일단, 이 세 가지의 원가계산법을 구분해놓은 의의를 파악해야한다.

원가계산방법은 어디까지 제품원가(재고가능원가)로 인정하고, 어디까지 기간원가(재고불능원가)로 분류하느냐에 따라 영업이익이 달라지며, 이익과 매출흐름의 해석 방법도 달라지게 된다

즉, 제품의 원가 구성의 범위에 따라서 총 3가지로 구분된다.

이 원가계산방법은 각 원가계산 별로 I/S 항목도 다르다.

전부원가계산

 

 

전부원가계산을 통해 계산된 원가는 #외부보고목적 으로 적합하다.

제품의 원가 구성은 다음과 같다.

  • 직접재료원가
  • 직접노무원가
  • 변동제조간접원가
  • 고정제조간접원가

전부원가계산의 경우,

해당 위의 제품원가들을 제품의 매출액에서 차감했을 때, #매출총이익 계정이 산출된다.

여기서 변동판매비와 고정판매비를 제외하면

전부원가계산의 최종 영업이익을 산출할 수 있다.

변동원가계산

변동원가계산은 내부관리목적으로 적합하다.

변동원가계산의 경우,

I/S부터 살펴보는 것이 이해가 더 쉽게 된다.

flow는 다음과 같다.

매출액

-변동원가

= 공헌이익

-고정원가(고정제조간접원가, 고정판매관리비)

=영업이익

전부원가계산과 변동원가계산의 차이점

 

변동원가계산과 전부원가계산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고정제조간접원가를 제품원가에 포함할 것인지, 기간원가에 포함할 것인지의 차이이다.

즉 재공품 및 제품a/c에서 차변 계정에 당기총제품제조원가 산출 시,

고정제조간접원가가 포함되느냐 안 되느냐에 따라 기말 재고가 달라진다.

전부원가계산의 경우, 당기총제품제조원가에 고정제조간접원가가 포함되기 때문에

기말재고가 변동원가계산방법으로 적용했을 때보다 당연지사 같거나 크게 나온다.

2.

각 원가계정별로 판매량을 사용하느냐, 생산량을 사용하느냐가 또 구별된다.

그래서 각 원가계산방법의 이익함수가 판매량과 생산량의 증감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도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다.

전부원가계산의 경우,

생산량과 판매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익이 증가한다.

따라서 재고과잉을 유도할 수가 있다.

원가계산을 통한 통제과정에서 정확한 성과측정이 어려울 수 있다.

반면,

변동원가계산방법에 의하면 생산량을 결정하는 요소가 기간원가에 포함되기 때문에

이익이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부원가계산방법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재고과잉유도 를 억제함에 따라, 재고누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초변동원가계산

초변동원가계산 또한 내부통제 목적으로 적합하다.

초변동원가계산은 제품원가에 #직접재료원가 만이 포함된다.

초변동원가계산의 경우,

계산 구조는 다음과 같다.

매출액

-직접재료원가

=재료처리량 공헌이익

-운영비용

=영업이익


문제풀이 핵심

우선 위의 영업이익 계산구조는 당연히 알아야 한다.

그 다음은,

고정제조간접원가를 활용해서 구하는 문제가 많이 나오고

추가로 선입선출법을 가정한다고 했을 때,

기초와 기말재고를 통해 구하는 문제들의 ... 혹은

제품판매량 계산할 때 전기/당기 금액이 개입이 되는지 판단을 잘 하고 문제를 풀어야 한다.

원가계산이 2가지 이상 제시가 된다면, 대부분 이익 차이 조정 문제다.

추가로 배부 차이 개념이 나오면,

전부원가계산방식이 무조건 나올 거고.

거기에 '기준 조업도'개념이 추가가 될 것이다.

그럼 실제 산출량과 비교해서 차이 조정을 한다.

불리한 차이인지 유리한 차이인지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